![](/media/image/7501/file/3667493629_SB6CLyFj_C5A9B1E2BAAFC8AF_C0FCB9AEB0A1+B3BBB8E9.JPG)
![](/media/image/7501/file/3667493629_P2vKHidZ_C5A9B1E2BAAFC8AF_C0FCB9AEB0A1+BFDCB8E9.JPG)
이숙정 교수님 안녕하세요.
심리운동협회장 백운찬입니다.
교수님께서 홈페이지를 통하여 문의 하신 내용 두 가지에 대해 논의를 거쳐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1. "심리운동" 의 하위항목 중 심리운동이란 ? 에 해당하는 글의 출처에 관한 내용입니다.
이 내용에 대해 확인한바 ‘역자서문 중에서’를 ‘발간사 중에서’ 로 잘못표기 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고의적인 부분은 아니지만 역자의 글이 잘못 기재된 부분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하며 ‘심리운동의 이해’ (저자 Renate Zimmer) 발간사 중에서 (역자 이숙정 단국대학교 교수)를 ‘심리운동의 이해’ (저자 Renate Zimmer) 역자 서문 중에서 (역자 이숙정 단국대학교 교수) 로 수정하여 명시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 번 역자의 본의를 잘못 기재한 부분에 대해 유감의 뜻을 표합니다.
3. 심리운동협회의 강사자격에 관한 내용과 관련하여 입니다.
이 질의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자체 점검과 확인을 해본 바 우리 심리운동협회에서는 우선 독일심리운동협회에서 발급한 심리운동 전문가 자격증을 발급받은 바 있으며 이 증서에는 독일심리운동협회회장의 서명이 있음을 확인 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예시로 자격증 사본을 함께 보내드리며 이 사본은
2009년에 발급된 독일심리운동협회의 강사자격 자격증으로, 2009년 독일심리운동협회 회장이셨고, 현 회장이신
Krus Prof. Dr., Astrid가 서명한 자격증입니다.
이와 같이 독일 심리운동협회장이 서명한 자격증에 의해 현재 강사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인증’이라 표기하였음을 말씀드립니다. 혹 ‘인증’이라는 용어보다 적절한 용어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현재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강사분들과 한국 심리운동협회의 강사분들은 모두 같은 자격증을 소지하고 계신 분들임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2011년에는 현재 독일심리운동협회의 부회장이신 Jessel Prof. Dr. Holger가 ‘사회경험’과 ‘심화과정’을 진행하였으므로, 이분들께 문의하시면 정확한 답변을 들으실 수 있으시리라 사료됩니다.
심리운동협회에 관심 가져 주신 이숙정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교수님께서 소개해주신 한스 바인스 외 (2011). 학교 현장을 위한 심리운동. (이숙정 번역). 문음사. 에 대해서는 널리 홍보하여 좋은 교재로 함께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저희 한국 심리운동협회에서는 교수님의 심리운동에 대한 열정과 연구업적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한국 심리운동의 발전을 위해 교수님의 연구가 큰 업적을 남길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교수님과 한국 심리운동학회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하며 더 큰 한국 심리운동의 발전을 위해 큰 힘을 모으고 함께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교수님과 한국 심리운동학회의 발전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한국심리운동협회장 백운찬 드림.
>
>
> 글의 내용 중 오해의 여지가 있는 내용이 있어 확인 후 답변과 함께 재 게시하겠습니다.
>
> 오랜만에 협회 사이트를 방문합니다.
> 협회가 많은 발전을 거듭해 온 것 같습니다.
> 오늘 문의 내지 전달 하고 싶은 내용은 3가지 입니다.
>
> 1. 위의 배너 "심리운동" 의 하위항목 중 심리운동이란 ? 에 해당하는 글의 출처는 독일저자의 발간사가 아니라 역자인 제가 역자 서문으로 직접 작성한 글입니다. 계속 사용하실 경우 출처를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
> 2. 신간소개입니다. 한스 바인스 외 (2011). 학교 현장을 위한 심리운동. (이숙정 번역). 문음사.
>
> 3. 강사진의 약력을 보았습니다. 다들 훌륭한 분이십니다.
> 그런데 모든 강사분 약력에 "독일심리운동협회 인증 심리운동 전문가 "라 쓰여있는데
> 제가 최근까지 독일심리운동 협회와 교류한 결과, 제가 아는 선에서는 독일심리운동협회에서 한국에 인증하는 "심리운동 전문가" 자격이란 없습니다.
> 혹시 제가 잘못 알고 있다면 이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 내지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 대학에서 심리운동을 강의하고 연구하는 저로써는 이점을 정확히 알고 전달하고 싶어서 입니다.
>
> 이상입니다. 한국심리운동 협회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하며.
>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 이숙정 올림
>
> 추신: 비밀글로 문의하려 했는데, 글쓰기 창에는 비밀글 설정 옵션이 없네요. 담당자께서 읽으신 후 비밀글로 처리하셔도 됩니다. 단, 삭제는 마시구요.
>